본문 바로가기

감나무 농약 방제시기 BEST 7 총정리

생활정보xyz 2025. 4. 18.

감나무 농사를 하다 보면 매년 반복되는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언제, 어떤 병충해를, 어떤 약으로 방제하느냐입니다. 시기를 놓치면 감 수확량이 급감하고, 과잉 살포는 비용과 노동만 낭비되기 때문이죠.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감나무 농약 방제시기를 월별로 정리해드리며, 실제 방제 꿀팁과 주의사항까지 안내드립니다.

감나무 농약 방제시기는 3월 석회유황합제부터 8월 탄저병 방제까지 체계적인 연간 관리가 필요합니다. 생육 단계에 맞춘 시기별 방제가 수확량을 좌우합니다.

💡 참고로 이런 것도 있어요!

1. 감나무 농약 방제란 무엇인가요?

감나무에 발생하는 병해충(탄저병, 낙엽병, 깍지벌레, 응애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연간 살포 계획을 의미합니다. 방제 시기를 놓치면 수확량 70~80%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정밀한 방제 전략이 필수입니다.

2. 월별 방제 일정 및 방법

주요 방제 대상 방제 포인트
3월 깍지벌레, 탄저병 (월동충) 석회유황합제 5배액 희석 → 잎 나오기 전 살포
4~5월 관총채벌레, 흰가루병 감꽃 피기 5~6일 전 1차 방제
6월 둥근무늬낙엽병, 감꼭지나방 비 내리고 기온 24~25도일 때 1차 방제, 10일 간격 반복
7~8월 탄저병, 노린재, 깍지벌레 7월~9월까지 기상 따라 3~4회 반복 살포
9~10월 수확 전 병해 방제 수확 1개월 전 마지막 방제
12~2월 월동 병충해 기계유 유제 25배액 살포

3. 주요 병해충별 방제 시기와 약제

📌 이런 정보도 많이 궁금해하시더라고요!

깍지벌레

  • 6월 하순 ~ 7월 상순: 우화약충 시기
  • 8월 중순 ~ 하순: 2차 방제
  • 약제: 메치온, 디메토유제 1,000배액 (2~3회 반복)

둥근무늬낙엽병

  • 기온 24~25도 + 강우 시 발생
  • 1차 방제가 가장 중요 → 빠지면 70% 이상 수확 손실

탄저병

  • 3월 석회유황합제, 장마 직후 다이센 M-45(600배), 디포란탄(800배), 안트라콜(600배)
  • 8월까지 3~4회 반복 방제

응애류

  • 차응애: 5~6월 / 주름응애: 7~9월
  • 기온 25도 이상일 때 약효 감소 → 오전·저녁 살포 권장

4. 방제 꿀팁 & 주의사항

  • ✅ 감나무 1차 방제는 “3월 석회유황합제”로 시작
  • ❌ 방제 시기 놓치면 치료보다 예방이 어려움
  • ✅ 기상정보(비 + 온도 24도 이상)와 연계한 방제 타이밍 중요
  • ✅ 감꼭지나방은 매년 약제 교체 필수 (저항성 방지)
  • ✅ 저장용 단감은 연 9~10회 방제 필수 (병 방지 + 상품성 확보)

방제 횟수 체크리스트

  • 단감: 연간 9~10회
  • 떫은감(반시): 연간 4~6회

5. 실전 농가 후기

"작년에 석회유황합제를 깜빡하고 안 했더니 낙엽병이 크게 왔습니다. 1차 소독이 진짜 중요합니다." – 충북 영동 A농가

FAQ

감나무 방제는 꼭 해야 하나요?

탄저병이나 낙엽병은 방제를 안 하면 수확이 70~80%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예방이 필수입니다.

석회유황합제는 왜 중요하죠?

3월 방제를 제대로 하면 연중 병충해 약제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과적입니다.

무농약 방제는 가능한가요?

일부 병충해는 천적 활용이나 친환경 약제로도 방제할 수 있으나, 상업적 재배 시엔 한계가 있습니다.

결론

감나무는 품질도 중요하지만 병충해 방제 타이밍이 수확량을 좌우합니다. 방제 시기를 정확히 파악해 연간 계획을 세우고, 석회유황합제부터 탄저병까지 제때 처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우리 농가 감나무에 맞는 연간 방제 계획 지금 세워보세요 👇

 

댓글